컨텐츠 바로가기
초기화
  • 546 기타
    호암상
    김창진 박사는 2000년대 초반 기존의 미세전자기계시스템(MEMS) 기술과 유전체(誘電體) 일렉트로웨팅(EWOD)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미세유체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, 이...
  • 545 기타
    호암상
    물질 혁명을 위한 분자 설계와 합성을 시도하면서 자연의 법칙을 찾아내는 것은 화학자들의 오랜 갈망이다. 천진우 박사는 화학적 설계를 통해 나노크기 물질의 형성과 제어를 시도하였으며...
  • 544 기타
    3·1문화상
    국내 최초의 소립자 검출시설 구축
  • 543 기타
    3·1문화상
    구결, 이두, 향찰, 자료를 발굴 해독
  • 542 기타
    3·1문화상
    건축문화발전에 기여
  • 541 기타
    경암상
    입자물리학 분야의 난제 중 하나인 중성미자의 변화 세기와 스펙트럼을 세계 최초로 측정했다.
  • 540 기타
    경암상
    반도체 칩 설계 분야의 연구자로 현대 공학의 집합체로 불리는 웨어러블 시스템(Wearable Device) 분야에서
    인체통신, 직물형 인쇄회로기판, 구글 글라스에 대응하는 K-...
  • 539 기타
    경암상
    연골세포생성 과정에서의 신호전달 체계 연구와 퇴행성 골관절염 연구자로, 아연의존성 전사자인 MTF1이
    퇴행성 골관절염 유발에 결정적이란 사실을 밝혀냈다.